목록주식 (7)
세상돌아가는 최첨단 이야기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술 산업 환경 속에서 혁신과 품질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돋보이는 기업이 있습니다: 램리서치 코퍼레이션. 램리서치는 웨이퍼 제조 장비 및 관련 서비스를 공급하는 미국 기업으로서 반도체 산업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왔습니다.1980년 데이비드 K. 램(David K. Lam)이 설립한 램리서치는 회사의 시장 진출을 기념하는 자동 폴리실리콘 플라즈마 에칭기인 오토에치 480이라는 단일 제품으로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이 획기적인 기술의 자동화 측면을 전달하기 위해 '오토에치'라는 이름을 선택했으며, 480의 숫자 '80'은 창립 연도를 기념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램리서치는 설립 이래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하고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 중 하나..
안녕하세요! 오늘은 GM(제너럴 모터스)이 전기차 시장으로의 전환을 어떻게 헤쳐나가고 있는지 이야기해 볼게요. GM은 전통적인 내연기관 자동차에서는 여전히 강세지만, 전기차 분야에서는 몇 가지 도전 과제들이 있습니다. GM의 재정 상황과 시장 위치 GM은 재정적으로 꽤 튼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2024년 예상 주당 순이익(EPS)은 $10.39로, 2023년의 $7.68에서 점차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북미 대형 SUV 시장에서의 우위가 큰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다른 시장에서는 가격 압박이 커지는 상황에서도 GM의 SUV 판매가 재정적 안정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EV 전략과 도전 과제 GM의 전기차 전략은 회사의 미래 성장에 핵심이지만, 그만큼 어려움도 많아요. 2023년에는 전기..
EBITDA는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의 약자로 말그대로 이자비용, 세금 (법인세), 감가상각비용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등을 빼기 전 순이익을 말한다. 우리말로 세전 이자지금 전 이익 혹은 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이라고 한다. EBITDA는 이자비용을 이익에 포함하기 때문에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에 대한 기업의 실질이익창출 금액과 현금지출이 없는 비용인 감가상각비를 비용에서 제외함에 따라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EBITDA는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의 실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된다. 또 국가 간 또는 기..
좋은 주식을 발굴할 때, 중요한 주가 가격 평가 지표중 하나는 PSR (Price to Sales Ratio)이다. P/S ratio 라고도 하는데, 쉽게 말해 가격 / 판매이다. 주가 매출 비율, 가격 대비 판매 비율 모두 같은 말이다. 회사의 시가총액을 최근 12개월 (TTM; Trailing Twelve Month) 의 회사의 총 판매 수익으로 나누면 된다. P/S 비율은 낮을 수록 투자 매력이 높다. 주가매출비율 (이하 P/S) 는 시장이 회사 매출의 1 달러당 가치를 얼마로 평가하는지 보여준다. 이 비율은 아직 이익을 얻지 못 했거나 일시적인 차질을 겪은 성장주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아직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경우 투자자는 P/S 비율을 보고 주식이 저평가 되었..
포브스의 빌리어네어 명단중에서 꾸준히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워렌버핏에 대해서 못들어 본사람은 아마 없을겁니다. 그의 순자산은 현재 한화로 90조에 이를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는 사업가이자 지구상에 가장 성공한 투자자 중 한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워렌버핏의 투자전략을 우리는 배워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의 중요한 신조와 투자철학을 그 성공비결을 배워 봅시다. 그의 주식 찾은 방법의 4가지 핵심 1. 내제 가치에 따라 가격이 부당하게 낮은 주식을 찾는다 2. 주식 시장의 복잡한 수요와 공급에 초첨을 맞추기보다는 기업 전체를 본다 3. 고려하는 중요요소중 일부는 회사 실적, 회사 부채 및 이익 마진이다 4. 버핏은 가치투자자로서 기업이 공개되어 있는지, 상품에 대한 의존도 및 가격이 얼마나 저렴한지등을..
EPS는 우리말로 주당순이익이라고 한다.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의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한주당 순이익을 나타낸다. 말할것도 없이 EPS는 높을 수록 좋다. 미국 주식정보 사이트 (야후 파이넨스, finviz) 에서 EPS (ttm)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ttm 은 'Trailing Twelve Months'를 말하며, 즉 최근 12개월, 4분기동안을 의미한다.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EPS는 PER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EPS). 이것은 곧, 시가 총액 / 당기 순이익으로 계산해도 된다. 당연하겠지만, 시가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것이나, 1주 가격을 /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것은 같은 비율 (ratio)..
PER, PBR, ESP와 같은 단어로 표현되는 수많은 투자지표가 있습니다. 이것들은 어느 한 회사의 주식의 가치를 산정하는데 반드시 알아야 될 용어입니다. 먼저 PER은 Price-to-Earnings Ratio 입니다. P/E Ratio, P/E로도 표현됩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주가 수익율(주가 (가격) 대비 수익비율) 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 수익율은 주당 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대비 현재 주가를 측정하는 기업을 평가할 수 있는 비율입니다.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은 때때로, 'price multiple' 또는 'earnings multipl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P/E는 투자자, 애널리스트들이 회사 주식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때로는 그 회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