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주식용어 (5)
세상돌아가는 최첨단 이야기

투자자본수익률. 어느 회사건 투자를 한다. 건물, 기계, 유가증권 등 투자의 대상이 아닌 것은 아무것도 없다. 따라서 개념상 ""투자=자산""이라는 등식이 성립한다. 그러나 투자재원은 주주들이 납입한 자기자본과 외부차입금으로 나눠진다. 문제는 투자가 얼마나 수익성이 있는가에 달려 있다. 투자수익률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경영성과 측정기준 중의 하나로, 기업의 순이익을 투자액으로 나누어 구한다. 자금이 효율적으로 이용되면 수익이 올라가고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면 수익성은 떨어진다. A라는 회사와 B라는 회사가 겉으로는 똑같이 7억원의 이익을 냈다고 하더라도 투자자본이 A는 50억원이고 B는 60억원이었다면 A가 훨씬 효율적인 경영을 했다는 얘기다. ROI는 그만큼 효율성에 초점을 맞춘 개념이다. 최근 국내경기가..

좋은 주식을 발굴할 때, 중요한 주가 가격 평가 지표중 하나는 PSR (Price to Sales Ratio)이다. P/S ratio 라고도 하는데, 쉽게 말해 가격 / 판매이다. 주가 매출 비율, 가격 대비 판매 비율 모두 같은 말이다. 회사의 시가총액을 최근 12개월 (TTM; Trailing Twelve Month) 의 회사의 총 판매 수익으로 나누면 된다. P/S 비율은 낮을 수록 투자 매력이 높다. 주가매출비율 (이하 P/S) 는 시장이 회사 매출의 1 달러당 가치를 얼마로 평가하는지 보여준다. 이 비율은 아직 이익을 얻지 못 했거나 일시적인 차질을 겪은 성장주를 평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아직 수익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경우 투자자는 P/S 비율을 보고 주식이 저평가 되었..

많은 사람들이 주식분석을 하면서 PBR, PER은 많이 들어봤겠지만 BPS는 그만큼 익순한 용어는 아닌것 같다. BPS를 먼저 알면 PBR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BPS는 주당 순자산가치(Bookvalue per share)를 말하는데 풀어서 설명하자면,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수치이다. 미국뉴스 와 미국주식사이트에서는 BPS가 가끔 BVPS (Book value per share; Book value of equity per share) 라고 되어 있기도 한다. Book value (Bookvalue) 장부 가격이라고도 하며, 1주당 순자산을 말한다. 줄여서 BV라고도 한다. 이것은 Book value of Equity 라고도 불리는데 Shareholder Eq..

EPS는 우리말로 주당순이익이라고 한다.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 (당기순이익)을 그 기업의 발행한 총 주식수로 나눈 값으로, 한주당 순이익을 나타낸다. 말할것도 없이 EPS는 높을 수록 좋다. 미국 주식정보 사이트 (야후 파이넨스, finviz) 에서 EPS (ttm)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ttm 은 'Trailing Twelve Months'를 말하며, 즉 최근 12개월, 4분기동안을 의미한다. => 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EPS는 PER을 계산할 때 사용된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EPS). 이것은 곧, 시가 총액 / 당기 순이익으로 계산해도 된다. 당연하겠지만, 시가총액을 당기 순이익으로 나눈것이나, 1주 가격을 /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것은 같은 비율 (ratio)..

PER, PBR, ESP와 같은 단어로 표현되는 수많은 투자지표가 있습니다. 이것들은 어느 한 회사의 주식의 가치를 산정하는데 반드시 알아야 될 용어입니다. 먼저 PER은 Price-to-Earnings Ratio 입니다. P/E Ratio, P/E로도 표현됩니다. 우리말로 번역하면 주가 수익율(주가 (가격) 대비 수익비율) 이라고 할 수 있다. 주가 수익율은 주당 순이익 (EPS; Earnings per share) 대비 현재 주가를 측정하는 기업을 평가할 수 있는 비율입니다. 가격 대비 수익 비율은 때때로, 'price multiple' 또는 'earnings multiple'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P/E는 투자자, 애널리스트들이 회사 주식의 상대적 가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때로는 그 회사의..